경영과 세상살이/경영 리더십125 챗GPT를 잘못 이용한 변호사의 최후 챗GPT를 잘못 이용한 변호사의 최후 맨해튼에서 한 개인의 상해 소송을 대리한 변호사가 법원에 자비를 구했다. 그 변호사의 잘못은 무엇일까? 그는 연방 법원에 제출한 서면에서 판례를 6건 인용하였다. 그런데 그 판례는 존재하지 않은 것들이었다. 판례 검색을 AI 챗봇인 ChatGPT에게 맡겼는데, 이 챗봇이 완전한 가공의 판례를 창작해낸 것이다. 이 해프닝의 주인공 변호사 스티븐 A. 슈워츠는 객실 승무원의 카트가 무릎을 쳤다는 이유로 아비앙카 항공을 제소한 사람을 대리하였다. 그는 ChatGPT를 처음 사용하였는데, AI가 판례까지 지어낼 줄은 몰랐다고 말했다. 실제로 그 변호사는 ChatGPT에게 그런 판례가 정말 존재하는지를 물어보기까지 했는데, ChatGPT는 그렇다고 대답했다고 한다. 판례 조작.. 2023. 5. 29. 갈등에 관한 근거 없는 비생산적인 믿음 4가지 (** Nate Regier의 글 '갈등에 관한 근거 없는 비생산적인 믿음 4가지'를 요약하였다.) 갈등이란 말을 좋게 여기는 사람은 거의 없다. 그 말을 들으면 대부분 '달아나라,' '누군가가 상처를 입었군,' '난 그런 상황이 싫어,' '싸움,' 등의 부정적인 언어를 떠올리게 된다. 갈등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는 대체로 오랫동안 유지되어온 4가지 오해에 기인한다. 1. 평화는 갈등이 없는 것이다 고요함을 평화라고 혼동하지 말라. 고함소리가 없다고 해서 갈등이 없는 것은 아니다. 많은 조직들이 자신들은 평화롭다고 말하지만, 그 이면에는 이견이 있음에도 다툼을 피하려고 목소리를 낮추고 있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그런 조직 내에서는 수동공격적 인신공격(Passive-aggressive gossip)이나 조작.. 2023. 5. 28. 스톡옵션 자료 모음 '스톡옵션'이란 회사가 임직원 등에게 부여하는 권리다. 엄밀히 말해 일정 기간이 지난 후에 회사의 주식을 미리 정해둔 가격으로 살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그런데 한국에서 스타트업이 스톡옵션을 적법하게 부여하는 게 생각보단 쉽지 않다. 스톡옵션은 기본적으로 상법에 따라 부여한다.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벤처기업법)에 따라 부여할 수도 있다. 스톡옵션을 부여하려면 우선 정관에 스톡옵션을 부여할 수 있다는 규정이 필요하다. 부여받을 자의 성명, 명칭, 부여 방법, 행사 가격과 행사 기간, 부여받을 자 각각에게 줄 주식 종류와 수를 정해 주주총회 특별결의를 받아야 한다. 그리고 나서 스톡옵션 부여 계약을 체결한다. 벤처기업의 경우 신고서 및 정관 사본·주주총회 의사록 등을 첨부해 중소벤처기업부에 신고해.. 2022. 4. 28. 밸류체인의 스마일 커브 밸류체인의 스마일 커브(Value Chain, Smile Curve) 스마일 커브는 제품의 가치사슬(Value Chain)에서 단계별 부가가치를 나타낸 곡선이다. 이 곡선은, 최근의 지식기반 경제에서, 미소짓는 입의 모습처럼 가운데 부분에 비해 양측 끝이 위로 올라가 있다. 가치사슬은 상품의 개념 설정, 연구개발로부터 디자인, 제조, 유통을 거쳐 마케팅 및 애프터서비스로 이어진다. 상품의 진행 과정을 따른 부가가치 곡선이 스마일 커브를 그린다는 것은, 가치사슬의 양단에서 부가가치가 가장 높다는 의미이다. 즉 좌측 끝의 개념 설정과 연구개발과정 및 우측 끝의 마케팅 및 애프터서비스 과정에서 가장 많은 이익을 누리고, 가운데의 제조 분야의 부가가치가 가장 낮다는 뜻이다. 제조 납품 회사가 가장 중요한 생산 .. 2022. 3. 20. 이전 1 2 3 4 ··· 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