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배(虛舟) - 장자(莊子) 산목(山木)
배를 타고 강을 건너는데
빈 배가 와서 부딪혔다면,
아무리 속좁은 사람이라도
화를 내지 않는다.
그러나 배 위에 사람이 있다면
피해 가라고 소리칠 것이다.
한 번 소리쳤는데 듣지 못하면 재차 소리치고, 그래도 듣지 못하면 세 번 소리를 지르며, 이제는 욕설이 뒤따를 것이다.
앞서에서는 화를 내지 않다가 이제 화를 내는 것은, 앞서는 빈 배였지만 지금은 사람이 타고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사람들이 자신을 비우고 세상을 노닐 수 있다면 어느 누가 그를 해칠 수 있겠는가.
方舟而濟於河(방주이제어하) 有虛舩來觸舟(유허선래촉주) 雖有惼心之人不怒(수유편심지인불노)
有一人在其上(유일인재기상) 則呼張歙之(즉호장흡지) 一呼而不聞(일호이불문) 再呼而不聞(재호이불문)
於是三呼邪(어시삼호야) 則必以惡聲隨之(즉필이오성수지) 向也不怒而今也怒(향야불노이금야노)
向也虛而今也實(향야허이금야실) 人能虛己以遊世(인능허기이유세) 其孰能害之(기숙능해지)
- 장자(莊子) 산목(山木)
'경영과 세상살이 > 지혜로운삶' 카테고리의 다른 글
花看半開(화간반개) 酒飮微醉(주음미취) (0) | 2019.12.04 |
---|---|
사기(史記) 화식열전(貨殖列傳) 중에서 (0) | 2019.12.02 |
빈배(虛舟) _ 장자(莊子) 산목(山木) (0) | 2019.12.01 |
사기기행(史記紀行) 제3편 _ 20170916 (0) | 2019.12.01 |
사기기행(史記紀行) 제2편 _ 20170915 (0) | 2019.12.01 |
사기기행(史記紀行) 제1편 _ 20170914 (0) | 2019.12.01 |
댓글0